기사 메일전송
경북의 힘으로 대한민국을 시리즈 10 영남학파 태두 퇴계 이황의 성리학과 경북과의 상관관계
  • 편집국
  • 등록 2023-02-23 00:48:44

기사수정

k-대사모 경북지역위원장 박윤식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쳐서 영남이라고 한다. 퇴계 이황을 종장(宗匠)으로 모신 학자들이 주로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영남학파라 한다. 반면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를 모신 학자들이 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여 기호학파라고 부른다.

 

이황이 활동하기 이전에도 영남 지역은 성리학이 심화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림파의 거두로 추앙받는 김종직(金宗直, 1431~1491)이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영남 지역에서 다수의 사림(士林)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김종직은 기호 지방과 영남 지역 모두에 중요한 스승으로 거론된다. 김종직의 학문은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 사림파 또는 도학파는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심화하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으며, 그 시작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에 와서 이루어졌다. 이언적은 김종직 문하의 손중돈에게 배워 사림의 학문적 성과를 계승하였으며, 조선 최초의 성리학 논쟁인 무극태극(無極太極) 논쟁에 참여하여 보편적 도덕 법칙인 이(理)를 중시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관점은 다시 이황에게 이어졌다.

 

이황이 경상북도 안동과 예안(禮安)에서 학문에 정진하였고, 이후 이황을 숭모하는 많은 학자들이 영남 지역에서 배출되면서 퇴계학파가 성립하였다. 또 이황과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남명(南冥) 조식(曹植, 1501~1572)은 경상남도 합천과 산청을 중심으로 활동하여 많은 제자를 길러냈는데, 이들은 이황을 따르는 ‘퇴계학파(退溪學派)’와 구분하여 ‘남명학파(南冥學派)’라고 불린다. 퇴계학파는 정파로 보면 남인이며, 남명학파는 북인이다. 남명학파는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실천으로 유명한데, 이 때문에 임진왜란 때 남명학파 출신의 의병장이 다수 나왔다. 그러나 광해군(光海君, 재위 1608~1623) 시기 집권 세력이었던 북인이 인조반정으로 대부분 소멸되면서, 남명학파는 쇠잔해지고, 퇴계학파가 융성해졌다. 따라서 이후 영남학파는 퇴계학파가 중심이 되었다.

 

이황은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했다. 다시 말해, 리(理)가 운동성을 갖고 스스로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리학에서 리(理)는 무형, 무위의 특성을 가지며 기(氣)의 운동성만을 인정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이황의 설명에 따르면 리(理)가 발(發)한 것이 사단(四端)이며 기(氣)가 발한 것이 칠정(七情)이다. 이와 달리 이이는 리가 발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사단이든 칠정이든 모두 기(氣)가 발하고 리가 이를 조종한다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제시하였다.

 

퇴계학파는 이후 4인의 뛰어난 직전 제자를 중심으로 크게 네 학파로 나누어졌다. 이 중 월천(月川) 조목(趙穆)은 그 문인들이 남명학파와 함께 대부분 북인에 가담하여 인조반정 이후 쇠락하였으므로, 조선 후기까지 영향을 미친 퇴계의 학맥은 세 갈래로 볼 수 있다. 먼저 도덕적 본성으로서 리의 절대성과 능동성을 인정하는 퇴계의 관점은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에게 전해져 이휘일, 이현일 형제를 통하여 심화되었으며 이진상, 곽종석 같은 한말의 이학자(理學者)에게 이어졌다.

 

반면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한강(寒岡) 정구(鄭逑)는 퇴계 학설만을 절대적으로 따르지 않고 사상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로부터 퇴계학파의 여러 분파가 생겨났다. 유성룡의 제자인 우복 정경세는 예학에 관심을 쏟아 역시 기호학파 중 예학의 대가인 사계 김장생과 비교되었다. 정구의 문인 중 미수 허목은 기호 지역의 퇴계학파를 성립시켜 이후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성재 허전, 청담 이중환, 금대 이가환, 다산 정약용 같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정구의 제자인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역시 이이의 학설을 절충하여 퇴계학과 긴밀하면서도 독자적인 여헌학파를 성립시켰다.

 

이상에서 볼 때, 퇴계 이황은 ‘경북의 힘으로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성리학의 대가이면서, 이 글에서 말하려는 경북도민들이 생각하고 있는‘지역의 대표 이미지’는 ‘인심’인 동시에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특히 필자의 고향인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엔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인 우복종택이 건재하여 있다. 이곳은 퇴계 이황(1501~1570)이 출생한 곳으로, 그의 조부인 노송정 이계양(1424~1488)이 1454년(단종 2년)에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용은 퇴계 이황의 온계전거사적과 송계 신용계가 지은 이계양의 묘갈명(무덤 앞에 세우는 둥그스름한 작은 비석에 새기는 글) 등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종택의 가장 큰 역사적 가치는 건립과 중수에 관련된 기록 다수가 남아 있다는 점으로 종택의 사당을 개수한 후에 기록한 가묘개창상량문과 선조퇴계선생태실중수기, 노송정중수상량문, 성림문중수기 등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다.

 

 

 

광고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포토뉴스더보기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알림]총선승리를 위한 애국단체연합대회
  •  기사 이미지 어멋! 이건 빨리 가야햇!!!! 선착순이래!!
  •  기사 이미지 송파(갑) 국회위원 석동현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 이모저모
문화체육관광부
정책공감
최신뉴스더보기
우이신설문화예술철도
인기 콘텐츠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